세시(歲時)란 세월과 같은 의미로 일 년 열두 달을 두고 바뀌는 시간을 말한다. 풍속은 일 년을 주기로 계절따라 반복되는 고유의 풍속을 말한다. 우리 선조들이 오랜 세월을 지내면서 24절기의 변화에 자연스럽게 맞춰가는 생활이 바로 세시풍속이라고 할 수 있다. 세시풍속은 대개 명절과 절기로 나눈다.
명절
계절적·자연적 정서와 제례 및 민속적 요소가 내포되어, 우리 민족이 전통적으로 지내온 축일이다. 삼월삼짇날, 석가탄신일, 단오, 삼복, 추석, 동지, 설 등을 들 수 있다.
월 주제
망종, 하지/단오
교육방향
6월은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무더위와 장마가 시작되기 전 ‘망종과 하지’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를 알아본다. 또한 풍년을 기원하는 잔치로 추석, 설날과 함께 조상들에게 큰 명절 중 하나였던 ‘단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자료제공 : 하정연 교수
이달의 절기
망종, 하지
<망종>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로 양력 6월 6일 무렵이다. 망종이란 벼·보리 등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망종 무렵은 보리 수확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로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다. 망종의 시기가 지나면 보리가 더 이상 익지 않아 망종 전에 수확해야 한다는 뜻이다. 바쁜 시기에 농사일이 끊이지 않고 연이어져 일을 멈추는 것을 잊는다고 ‘망종(忘終)’이라고도 한다.
<하지>
24절기 중 열 번 째 절기로 양력 6월 21일경 무렵이다. 남부지방 농촌에서는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이전에 모두 끝난다.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다. 북반구의 지표면이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아 하지 이후로 기온이 상승하고 몹시 더워진다.
<단오>
조선시대 설날,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정해졌을 만큼 큰 명절이다. 단오는 중국에서 전해진 풍속으로 초나라 때 충신이었던 굴원이 간신들의 모함에 지조를 지키려고 멱라수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데, 이후에 굴원을 기리는 제사가 우리나라에 전해져 단오가 되었다. 약쑥과 익모초, 찔레꽃 등을 따서 말려두며 약쑥을 다발로 묶어서 대문 옆에 세워두면 재액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한다.